iMagistrat

2025년 8월 23일 토요일

책 소개 : "프랑스 형사재판의 구조와 원칙 - 형사소송법의 이해"

작성자: iMagistrat 시간: 8/23/2025 03:19:00 오후 라벨: 프랑스 사법제도 , 형사소송 , 형사소송법
계명대학교 법학과 김택수 교수님께서 최근에 “프랑스 형사재판의 구조와 원칙 - 형사소송법의 이해”라는 책을 내셨습니다. 
교수님은 프랑스 낭시2 대학교에서 형사법으로 박사학위를 받으셨고, 이 책으로 프랑스 형사소송절차 전반을 정리하셨습니다. 아마 국내에 프랑스 형사소송절차 전반을 본격적으로 소개한 단행본은 이 책이 유일하지 않나 싶습니다.

저의 공부삼아, 이 책의 귀한 내용들 중 몇 부분에 제 의견을 살짝 덧붙여 정리해봅니다.

——————————————-

[14면] 
조직범죄, 금융범죄, 경제범죄와 같이 광역화된 범죄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특별법원으로서, 2004년 창설된 '광역특별법원(les juridictions interrégionales spécialisées, JIRS)'이 있습니다. 이는 조직범죄 등 분야에 특별한 능력과 경험이 있는 검사와 예심판사들로 구성된 특별사법기관이고, 광역 단위의 토지관할을 갖고 전국 9개의 주요 거점에 두고 있습니다.
2019년의 행정지침은 이 법원의 관할에 관해, 범죄의 파급이 일정 지역에 걸치고 지역의 질서를 혼란케 할 것을 요건으로 정하고 있습니다.

그와 비슷한 특별법원으로, '조직범죄대처전국법원(la juridiction nationale de lutte contre la criminalité organisée, JUNALCO)'이 2019년에 창설되었다고 합니다. 이 법원은 조직범죄, 특히 조세범죄, 마약범죄, 사이버범죄, 재정범죄, 자금세탁범죄 등에 대처하는 임무를 갖고 있습니다. 다만, 형사소송법 제704조에서 정하는 부패범죄는 여기서 제외됩니다.



[84면] 

수사절차에서 경찰유치(garde à vue)가 종료되면 검사는 원칙적으로 피고인을 자신 앞에 출석시키도록 하는데, 이를 인치(défèrement)라고 부릅니다. 이 단계에서 기소 여부의 결정이 내려지는데, 피의자의 인치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고 인치없이 피의자가 석방된 상태에서 소추가 이루어지기도 합니다. 

직접소환심판(citation directe), 즉시출석심판(comparution immédiate), 별도기일 출석심판(comparution à délai diffère)의 경우에는 검사 면전에의 인치가 필요하지만(형사소송법 제393조 제1항), 사법경찰관에 의한 소환심판(convocation par officier de police judiciaire) 방식은 검사의 면전에 피의자를 인치시키지 않아도 된다는 이점 때문에 경죄사건의 일반적인 기소방식이 되고 있습니다.


검사 면전에 피의자가 인치되는 경우, 검사는 진술거부권과 변호인조력권을 고지한 후 피의자를 신문(interrogatoire)하고 기소 여부를 결정합니다(제393조 제4항). 이러한 신문에 대해서는 조서(procès-verbal)를 작성합니다(제393조 제6항).




[102면]
이 부분에 기재된 프랑스 검찰 통계에 의하면, 2023년 기준 검찰에 접수된 4,705,322건의 새로운 사건 중 33,793건이 중죄, 3,892,561건이 경죄, 326,884건이 위경죄 사건이라고 합니다.

검찰이 처리한 사건 4,370,113건 중 3,170,220건은 신원미상 등 이유로 기소가 불가능한 사건이고 나머지 27.5%에 해당하는 1,199,893건이 기소 가능한 사건인데, 기소 가능 사건 중 절반인 594,365건은 기소, 100,242건은 기소유예, 400,458건은 기소대체수단을 통해 종결되었습니다.

검사가 기소한 594,400건 중 16,227건은 예심수사 청구(약 3%), 508,882건은 경죄법원 기소, 32,299건은 경찰법원 기소로 처리되었습니다. 소년법원 기소도 36,957건이 있네요. 

경죄법원 기소 중에서는 사법경찰관에 의한 소환 100,242건, 즉시출석 50,273건, 조서에 의한 소환 32,318건, 직접소환 6,119건, 별도기일출석 4,075건이고, 약식명령이 201,081건, 유죄인정부출석이 114,774건입니다.


[214면] 

프랑스에서는 경찰유치 피의자, 예심피의자, 미성년 피해자 등에 대한 조사과정은 영상녹화하여야 합니다. 예심수사에 대해서도 영상녹화조사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조서 작성을 대신하여 영상녹화만으로 조사가 이루어질 수는 없고, 예심과정이나 공판절차에서 조서에 기재된 진술 내용이 진술한 대로 기재되지 않았다고 다투어지는 경우 그에 대한 반박을 위해 영상녹화물이 쓰이게 된다고 합니다. 즉, 영상녹화물은 조서 기재의 정확성을 보장하기 위한 보조적 증거물입니다.

피고인의 의사에 따라 증거로 못 쓸 수도 있는 우리나라 조서와는 달리, 프랑스에서의 조서는 거의 무조건 증거로 쓰입니다. 더구나 프랑스의 조서는 단순한 증거의 지위만 있는 게 아니라, 사건이 법원에 오기 전의 예비심리 단계(검사의 수사 및 예심판사의 수사)에서 그 절차를 담당한 사법관이 자신이 사실관계를 검토해보니 이 피고인이 죄가 있는 게 맞다고 판단한다는 내용이 담긴 기록물 중 하나이고 재판법원의 판사로 하여금 신속하고 간이하게 재판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므로, 모든 사건에서 조서가 작성됩니다. 다시 말해, 당연히 증거로 쓰이는 조서를 작성하지 않을 이유가 없고, 조서가 없으면 예비심리 단계에서 사법관이 어떠한 판단을 하였는지 재판법원의 판사가 알 수 없으니 조서를 반드시 작성해야 하는 겁니다. 

따라서 영상녹화조사가 이루어지더라도 조서 작성이 생략되면 곤란하고 조서는 작성될 필요가 있는 겁니다. 그에 반해 우리나라 조서는 증거가치가 현저히 적으니 굳이 작성할 필요성이 없고, 필요에 따라 영상녹화조사가 이루어지는 경우 조서 없이 영상녹화물만 있으면 충분하지 않나 하는 게 저의 생각입니다.   


[128면, 210면, 217면] 

경죄법원과 경찰법원에서 증인을 출석시켜 신문하는 경우는 드물지만, 증인을 신문하는 경우 피고인을 먼저 신문한 후 증인을 신문합니다(제442조).


앞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프랑스에서 조서는 거의 무조건 증거로 쓰이므로, 굳이 조서상의 진술자인 증인이 법정에까지 나올 필요가 없어 증인신문이 드문 겁니다. 

또, 해당 사건에 대해 가장 잘 알고 있는 사람은 피고인 본인이므로 그로부터 듣는 사건에 관한 정보가 가장 중요하고, 그러한 이유로 피고인신문이 증인신문 순서보다도 앞에 위치하는 겁니다. 반면, 우리나라는 증인신문이 앞서 이루어지고, 재판절차의 가장 마지막 단계에, 그것도 필수절차가 아니라 임의절차로 피고인신문이 위치해 있습니다. 해당 사건에 대해 가장 많은 정보를 갖고 있는 사람의 말을 우리가 들어보기가 힘든 구조인 것입니다.  


[218면] 

유럽인권재판소와 프랑스 대법원은 대면심문권(confrontation)을 피고인의 권리로 인정하고 있습니다. 

다만, 유럽인권재판소는 대면심문권을 침해한 경우에 일관되게 이를 유럽인권협약 제6조가 보장하는 공평한 재판을 받을 권리를 침해한다고 판단하였으나, 최근 익명증인에 대한 대면심문권의 제한이 곧바로 공평한 재판을 받을 권리를 침해하는 것은 아니며 피고인에 대한 다른 절차적 보장장치에 의해 보완될 수 있다는 입장을 취함으로써, 대면심문권을 절대적 권리가 아닌 상대적 권리로 변경하였다고 합니다.


[221면] 

사인이 위법하게 수집한 증거가 실체판단의 증거로 사용될 수 있는지가 논란이 되는 대표적인 사례는 상대방 몰래 대화를 녹음한 녹음물과 그 녹취서인데, 우리 법과 달리 프랑스에서는 사적 대화에 참여하고 있는 당사자라고 하더라도 대화의 상대방 몰래 대화를 녹음하는 행위를 1년 이하의 구금 또는 45,000유로의 벌금에 처하도록 정하고 있다고 합니다(형법 제226-1조). 

그런데 프랑스 대법원은 이렇게 사인이 위법하게 수집한 증거라 하더라도 그 녹음물 자체는 형사소송법 제170조에서 규정하고 있는 예심상의 행위나 증거물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무효화될 수 없고 오히려 대심적으로 토론될 수 있는 증거방법에 해당한다고 판시하였다고 합니다. 즉, 사인이 형벌법규를 위반하는 방법으로 증거를 수집한 경우 그 위반행위에 대해 처벌받는 것은 별론으로 하고 이를 증거로 제출하는 것은 허용된다는 겁니다.



Tweet

댓글 없음 :

댓글 쓰기

최근 게시물 이전 게시물 홈
피드 구독하기: 댓글 ( Atom )
내 사진
iMagistrat
'magistrat'는 '사법관'을 뜻하는 프랑스어입니다.
전체 프로필 보기

Search

Category

  • 프랑스 사법제도 (134)
  • 사법제도 (88)
  • IT (57)
  • 잡담 (40)
  • 독서일기 (38)
  • 프랑스 생활 (37)
  • 아이폰 (24)
  • 아이패드 (16)
  • 식도락 (15)
  • 아이디어 (9)

Tag

4월 이야기 (2) 가짜 뉴스 (1) 감독관 (1) 감찰관 (2) 감찰제도 (3) 강사 (1) 강의 (3) 강제수사 (2) 강제입원 (1) 개혁 (9) 건축 (4) 검사 (54) 검찰 (28) 검찰총장 (6) 검찰항고 (1) 경찰 (4) 고등사법위원회 (7) 골든아워 (1) 공감 (10) 공기계 (1) 공부 (4) 공소장 (1) 교도소 (2) 교육 (2) 구글 (11) 구글포토 (1) 구금대체형 (2) 구금시설 (1) 구치소 (1) 국가금융검찰 (4) 국가대테러검찰 (2) 국가사법재판소 (4) 국가정보기술감독위원회 (1) 국가정의재판소 (2) 국가조직범죄검찰 (1) 국사 (1) 권리보호관 (1) 그리스 (1) 근무환경 (3) 금융전담 검찰 (3) 기생충 (1) 까페 (3) 나의아저씨 (1) 네덜란드 (1) 노란조끼 (1) 녹음 (1) 논고 (1) 대구 (1) 대륙법 (1) 대법원 (10) 대법원장 (2) 대테러 (3) 대통령 (2) 대학원 (6) 대화 (2) 데이식스 (1) 덴마크 (1) 도시 (1) 도피성 (1) 독립성 (18) 독서일기 (38) 독일 (1) 드라마 (1) 디지털 (8)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3) 디지털증거 (2) 라따뚜이 (1) 라트비아 (1) 레미제라블 (3) 루브르 (1) 룩셈부르크 (1) 리더 (1) 리투아니아 (1) 마약 (1) 마이클 코넬리 (6) 마인드맵 (1) 마츠 타카코 (1) 마크롱 (2) 맥 (3) 메타버스 (1) 명예훼손죄 (3) 모노프리 (1) 모욕죄 (2) 몰타 (1) 문화 (1) 미국 (13) 미러링 (2) 미모자 (1) 미술 (1) 미키 할러 (6) 바울 (1) 배심재판 (1) 배심제 (7) 범죄 (4) 법률구조 (1) 법률용어 (2) 법무부 (19) 법무부장관 (11) 법원 (15) 법원서기 (1) 법정 (3) 법정소설 (6) 벨기에 (1) 변호사 (11) 변호사협회 (1) 보호유치 (4) 블로그 (5) 비상상고 (1) 비시정부 (2) 빵 (3) 사교 (1) 사기죄 (2) 사법감찰 (1) 사법개혁 (2) 사법관 (16) 사법정보 (2) 사법제도 (88) 사소 (1) 사용자 환경 (1) 사진 (1) 샌드위치 (1) 서기 (1) 서울 (5) 석방구금판사 (1) 성경 (2) 성희롱 (1) 센강 (1) 소년법원 (1) 소법원 (2) 소통 (7) 수사 (1) 수사지휘 (1) 수사판사 (4) 수용시설 (1) 수용시설 최고감독관 (1) 슈크르트 (1) 스웨덴 (1) 스트로스 칸 (1) 스티브잡스 (5) 스페인 (1) 슬로바키아 (1) 슬로베니아 (1) 시간 (1) 시스템 (1) 식도락 (15) 식전빵 (1) 신년사 (2) 신속기소절차 (1) 신원확인 (1) 심리학 (2) 아날로그 (2) 아웃라이어 (1) 아이디어 (9) 아이유 (1) 아이패드 (16) 아이폰 (24) 아일랜드 (1) 아카데미상 (1) 압수수색 (2) 애플 (8) 앱 (5) 야구 (2) 언락폰 (1) 언터처블 (1) 에스토니아 (1) 엘리제 궁 (1) 여행 (10) 역사 (11) 열정 (1) 영국 (2) 영미법 (1) 영상녹화물 (2) 영어 (1) 영화 (9) 예술 (1) 예심수사판사 (7) 예심판사 (4) 오스카상 (1) 오스트리아 (1) 올림픽 (1) 와이파이 (1) 와인 (1) 우트로 사건 (1) 웹사이트 (1) 위선떨지 말자 (1) 위헌 (1) 유럽사법재판소 (1) 유럽인권법원 (1) 유심 (1) 유튜브 (3) 음식 (1) 이국종 (1) 이준 (1) 이탈리아 (1) 인간관계론 (1) 인공지능 (1) 인사 (4) 인생 (1) 인왕재색도 (1) 일본 (1) 자치경찰 (1) 잡담 (40) 재판 (2) 재판의 독립 (1) 쟝-루이 나달 (1) 저작권 (1) 전문법칙 (3) 전원 (1) 전자소송 (4) 전자화 (5) 절차의 무효 (1) 정신병원 (2) 조서 (4) 조직범죄 (1) 중죄재판부 (2) 증거 (8) 증거법 (2) 지문 (1) 직권남용 (1) 직무교육 (1) 직무상 과오 책임 (1) 직장 (8) 직접주의 (1) 참고인 (1) 참고인 구인 (1) 참심제 (2) 체코 (1) 최고사법관회의 (7) 치료감호소 (1) 카페 (1) 캠핑장 (2) 케밥 (1) 크롬 (1) 크리스마스 (1) 키노트 (1) 키프로스 (1) 테러 (3) 통계 (1) 통신비밀 (1) 퇴사 (1) 트위터 (4) 파기원 (2) 파리 (22) 파리 지방검찰청 (1) 판결정보 공개 (3) 판례 (1) 판사 (7) 팟캐스트 (1) 페이스북 (2) 포르투갈 (1) 포토북 (2) 폴란드 (1) 프랑스 (27) 프랑스 국립사법관학교 (13) 프랑스 드라마 (1) 프랑스 사법제도 (134) 프랑스 생활 (37) 프랑스 언론 (3) 프랑스 영화 (3) 프랑스 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 (9) 프랑스 장관 (1) 프랑스 총리 (1) 프랑스어 (4) 프레젠테이션 (1) 프리젠테이션 (1) 플뢰르 펠르랭 (2) 플리바기닝 (6) 피해자 (1) 핀란드 (1) 한식 (1) 한양도성 (1) 햄버거 (1) 헌법 (1) 헌법위원회 (3) 헝가리 (1) 형벌 (4) 형사소송 (39) 형사소송법 (1) 호텔 (1) 회식 (3) AI (1) CEO (1) DELF (3) DNA (1) EU (28) gilets jaunes (1) greffier (1) IT (57) jeudigital (1) NFT (1) open data (4) RSS (1) transformation numérique (1) UI (1)
Je-Hee. Powered by Blogger.

Blog Archive

  • 2025 (5)
    • 8월 2025 (2)
      • 프랑스 국가조직범죄검찰청(PNACO) 설립 소식
      • 책 소개 : "프랑스 형사재판의 구조와 원칙 - 형사소송법의 이해"
    • 7월 2025 (1)
    • 4월 2025 (2)
  • 2024 (4)
    • 9월 2024 (1)
    • 7월 2024 (1)
    • 4월 2024 (2)
  • 2023 (11)
    • 12월 2023 (2)
    • 10월 2023 (2)
    • 9월 2023 (2)
    • 7월 2023 (1)
    • 6월 2023 (2)
    • 5월 2023 (2)
  • 2022 (2)
    • 8월 2022 (1)
    • 4월 2022 (1)
  • 2021 (15)
    • 12월 2021 (2)
    • 11월 2021 (1)
    • 10월 2021 (2)
    • 9월 2021 (3)
    • 8월 2021 (1)
    • 7월 2021 (2)
    • 6월 2021 (1)
    • 5월 2021 (1)
    • 3월 2021 (2)
  • 2020 (9)
    • 11월 2020 (1)
    • 10월 2020 (1)
    • 8월 2020 (1)
    • 6월 2020 (1)
    • 2월 2020 (2)
    • 1월 2020 (3)
  • 2019 (40)
    • 12월 2019 (4)
    • 11월 2019 (4)
    • 10월 2019 (2)
    • 9월 2019 (1)
    • 8월 2019 (3)
    • 7월 2019 (13)
    • 4월 2019 (2)
    • 3월 2019 (3)
    • 2월 2019 (2)
    • 1월 2019 (6)
  • 2018 (36)
    • 12월 2018 (7)
    • 11월 2018 (3)
    • 10월 2018 (4)
    • 9월 2018 (2)
    • 8월 2018 (2)
    • 7월 2018 (1)
    • 6월 2018 (3)
    • 5월 2018 (1)
    • 4월 2018 (6)
    • 3월 2018 (6)
    • 2월 2018 (1)
  • 2017 (24)
    • 12월 2017 (6)
    • 11월 2017 (1)
    • 9월 2017 (1)
    • 8월 2017 (2)
    • 7월 2017 (3)
    • 6월 2017 (3)
    • 5월 2017 (1)
    • 3월 2017 (3)
    • 2월 2017 (2)
    • 1월 2017 (2)
  • 2016 (33)
    • 12월 2016 (6)
    • 11월 2016 (1)
    • 10월 2016 (5)
    • 9월 2016 (1)
    • 8월 2016 (1)
    • 7월 2016 (2)
    • 6월 2016 (3)
    • 5월 2016 (6)
    • 4월 2016 (2)
    • 3월 2016 (3)
    • 2월 2016 (3)
  • 2015 (16)
    • 11월 2015 (2)
    • 7월 2015 (5)
    • 6월 2015 (4)
    • 5월 2015 (2)
    • 4월 2015 (1)
    • 2월 2015 (2)
  • 2014 (2)
    • 12월 2014 (1)
    • 5월 2014 (1)
  • 2013 (9)
    • 10월 2013 (1)
    • 8월 2013 (4)
    • 5월 2013 (1)
    • 3월 2013 (2)
    • 2월 2013 (1)
  • 2012 (9)
    • 10월 2012 (1)
    • 7월 2012 (1)
    • 6월 2012 (5)
    • 1월 2012 (2)
  • 2011 (90)
    • 12월 2011 (2)
    • 11월 2011 (2)
    • 10월 2011 (2)
    • 9월 2011 (5)
    • 8월 2011 (6)
    • 7월 2011 (4)
    • 6월 2011 (8)
    • 5월 2011 (4)
    • 4월 2011 (4)
    • 3월 2011 (10)
    • 2월 2011 (9)
    • 1월 2011 (34)
  • 2010 (2)
    • 12월 2010 (1)
    • 6월 2010 (1)

Popular Posts

  • 식전빵?
    언젠가부터 고급 레스토랑은 물론 동네에 있는 흔한 파스타 집에서도 '식전빵'이란 걸 쉽게 볼 수 있습니다. 보통 에피타이저든 주요리든 뭔가가 나오기 전에 가장 먼저 발사믹을 친 올리브 오일과 함께 나오는 빵을 이렇게 부르고 있습니다. 요...
  • Bonjour와 Bonsoir의 차이
    프랑스어 인사말 중에 Bonjour와 Bonsoir가 있습니다. 앞의 것은 낮에 하는 인사말, 뒤의 것은 저녁에 하는 인사말이라고 흔히 설명됩니다. 직역하면 각각 '좋은 날', '좋은 저녁' 정도가 되겠네요. 사실 별로 ...
  • 자녀와 둘만의 짧은 파리 여행 후기
    지난 주에 4박 5일간의 짧은 파리 여행을 다녀왔습니다. 다음 여행의 준비를 위해 몇 가지 느낀 점을 두서 없이 적어 볼까 합니다. [이번에 묵은 숙소 창밖 풍경] 1. 이번 파리 여행은 중학교 1학년인 제 딸아이와의 단둘만의 여행이었...
  • [성경] 사도 바울의 원래 직업은 검사?
    얼마 전 어느 목사님이 설교 중에 이런 얘기를 하셨습니다. 성경에는 별의별 직업인들이 다양하게 등장하는데, 그 중엔 검사라는 직업을 가진 사람도 있다고. 바로 사도 바울이 원래 검사였다는 겁니다. 바울이 검사라니, 생전 듣도 보도 못한 말이라 의아했습...
  • 모노프리 심야영업 금지
    프랑스 파리 거리를 걷다보면 이따금씩 눈에 띄는 대형 마트로 '모노프리(MONOPRIX)'라는 게 있습니다. 10년 전 잠시 파리에 살던 시절, 저도 집 근처에 있는 모노프리를 거의 매일 들르다시피 하며 자주 이용했었는데요. 세 살 짜리...

© iMagistrat 2013 . Powered by Bootstrap , Blogger templates and RWD Testing Tool